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

비즈니스로 이해하는 IT 기본용어 Algorithm_구글의 검색 구글은 사용자가 검색어 입력 시, 'Spider'라는 프로그램으로 crawling 해 DB로 저장해 둔 웹페이지의 결과를, 'PageRank' 등의 알고리즘으로 분석해 가장 좋은 결과물 10개로 추린다. PageRank는 단순히 웹페이지의 키워드 빈도가 아니라, 다른 웹페이지로부터의 연결 여부를 기준한다. 그 외에도 웹페이지의 업데이트 시점, 사용자의 현재 위치 등을 반영한다. 구글은 연간 500건 이상 수시로 알고리즘을 변경한다. "파티에서 인기인을 찾으려면 다른 인기인들이 주변에 있는지 보면 된다."​ Algorithm_스포티파이의 음악추천 스포티파이는 리스트에 저장된 곡, 특정 곡의 청취시간, 기존 사용자들이 만들어 놓은 리스트(협업 필터링) 등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취.. 2021. 3. 28.
블로그를 활용한 온라인 광고의 종류 "블로그의 운명은 검색엔진과 함께한다." 개인의 기록 용도로 활용되는 모든 웹사이트(Web+Log)가 블로그이다. 인터넷 상에는 수많은 웹사이트가 있으며, 이를 검색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 검색엔진이다. 검색엔진은 웹사이트(블로그)와 함께 성장해왔으며, 네이버 포스트, 다음 브런치 등 대체서비스들도 아직 블로그 수준의 트래픽을 넘지 못하고 있다. 앱 기반 서비스와 달리 검색엔진에 기반한 블로그는 대체될 수 없다. 유튜브와 같은 영상매체들이 발전하더라도 텍스트 중심의 플랫폼으로서 블로그의 지위는 유지될 것이다. "완벽을 고집하면 준비기간만 늘어난다." 거창하지 않아야 시작할 수 있다. 준비기간이 길어지면 포기해야 할 이유도 많아진다. "중요한 것은 '무엇이'가 아니라 '어떻게'이다." 브랜딩과 마케팅을.. 2021. 3. 28.
용역의 원가계산방법 I. 용역의 원가계산 개요 1. 용역의 원가계산 체계 - 용역은 개별성이 강하여 공사원가처럼 체계적인 계산이 어렵다. - 일정정도 정형화 되어 있는 학술연구용역, 개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표준화 된 규정은 없다. - 규정이 없는 용역의 경우, 상기 규정을 준용하여 원가계산을 한다. 2. 용역의 구분 1) 일반용역 : 「예정가격 작성기준」 - 학술연구용역 : ①위탁형 ②공동연구형 ③자문형 - 단순용역 : ①폐기물처리 ②경비 ③청소 ④시설관리 ⑤행사관리 2) 기술용역 - 엔지니어링사업 : 「엔지니어링사업 대가의 기준」 - 소프트웨어사업 : 「소프트웨어사업 대가산정 가이드」 - 측량 : 「측량용역 대가의 기준」 II. 학술연구용역 원가계산 1. 학술연구용역 개요 - 의의 : 학문분야의 기초과학.. 2021. 3.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