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책장

비즈니스로 이해하는 IT 기본용어

by 오성범 평가사 2021. 3. 28.

Algorithm_구글의 검색
구글은 사용자가 검색어 입력 시, 'Spider'라는 프로그램으로 crawling 해 DB로 저장해 둔 웹페이지의 결과를, 'PageRank' 등의 알고리즘으로 분석해 가장 좋은 결과물 10개로 추린다. PageRank는 단순히 웹페이지의 키워드 빈도가 아니라, 다른 웹페이지로부터의 연결 여부를 기준한다. 그 외에도 웹페이지의 업데이트 시점, 사용자의 현재 위치 등을 반영한다. 구글은 연간 500건 이상 수시로 알고리즘을 변경한다. "파티에서 인기인을 찾으려면 다른 인기인들이 주변에 있는지 보면 된다."

Algorithm_스포티파이의 음악추천
스포티파이는 리스트에 저장된 곡, 특정 곡의 청취시간, 기존 사용자들이 만들어 놓은 리스트(협업 필터링) 등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취향을 파악한다. 협업 필터링은 사용자의 수가 많을수록 강력해지면, 사용자의 취향이 기록되고 활용되면 서비스의 전환장벽이 생긴다.

Algorithm_페이스북의 뉴스피드
페이스북은 사용자의 상호작용빈도, 전체적인 사람들의 반응, 게시물의 종류(글, 사진, 동영상), 게시물의 최신성 등을 기준으로 게시물을 정렬한다.

API_우버와 구글지도, SNS 로그인
API는 앱들 사이의 통신수단이다. 직접 구축하기 어려운 기능, 데이터, 하드웨어까지도 다른 앱에서 빌려와 사용한다. API를 활용하면 개발이 수월해지지만 다른 앱에 종속되는 단점이 있다.

OS_안드로이드와 아이폰, 윈도우와 맥
OS는 모든 컴퓨터 기기의 심장과 같다. 구글은 안드로이드를 무료로 배포하지만, 안드로이드 기반 앱 구매 수수료로 수익을 올린다. 안드로이드는 소스를 오픈하지만 더 많은 사용자를 끌어들인다. 반면 애플은 OS가 아닌 Hardware의 판매로 수익을 올리며, 사용자의 경험을 방해할 수 있는 앱(Bloatware)를 막는다. 맥은 OS 점유율이 4% 정도 밖에 되지 않으나, 부유한 국가에서 주로 사용한다. Sandbox 기능을 통해서 바이러스의 전이를 막는다.

앱경제_사용수익(부분유료화), 광고수익(타깃광고), 무료수익(공급수수료, 선성장후인수)
부분유료화를 통한 수익창출법은 인앱결제와 유료구독이다. 인앱결제는 고객의 20%에서 80%의 수익을 창출한다. 페이스북의 타깃광고는 CPC(Cost Per Click) 방식과 CPM(Cost Per Mille)을 활용한다. 구글과 페이스북의 광고시장 점유율은 50%에 가깝다. 그 외에는 아마존 정도이다.

프로토콜_http. tcp, ip, dns
http,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와 같은 프로토콜은 통신수단으로, 정보를 이동시키기 위해 교통수단(예: 우버X, 우버블랙)을 고르는 것과 같다. IP(Internet Protocol)는 주소록에 저장된 휴대폰 번호이며, 도메인은 번호에 매치된 이름이다. TCP(Transmisson Control Protocol)은 정보를 전달하는 양을 조절하기 위한 분할과 조립장치이다.

클라우드 컴퓨팅_구글스프레드시트, 오피스365, AWS
아웃룩을 사용하지 않고 웹메일을 사용하는 것처럼, MP3를 다운로드 하지 않고 스트리밍 하는 것처럼, 문서의 작성과 저장도 SaaS(Software-as-a-service)와 Cloud에서 하게 되는 것이다. 서비스형 소프트웨어는 100% 인터넷에 의존하기 때문에 인터넷 보급이 전제되어야 하지만, 배포 버전과 달리 별도로 업데이트 할 필요가 없다. 파일의 저장은 클라우드, 즉 데이터센터에서 전문적으로 유지 관리되는 남의 컴퓨터에 한다. 이동이 편하고, 보안에 강하며, 탄력적이라는 것도 장점이다.

빅데이터_Map Reduce
빅데이터를 처리도구인 Hadup은 Map Reduce 알고리즘을 활용한다. 한 대의 슈퍼컴퓨터가 아닌 여러 대의 컴퓨터에 작업을 분산시키는 방식이다. 아마존은 평균 10분에 한번씩 모든 제품의 가격을 재산정한다.

정보보호_딥웹, 다크웹, 종단간 암호화와 VPN, SSL스트립
딥웹은 검색으로 찾을 수 없는 개인 웹메일 등을 말한다. 다크웹은 딥웹 중에서 별도의 웹브라우저(TOR, The Onion Router) 사용해 통신과정을 여러 대의 컴퓨터로 중개하고 IP 익명성이 보장되는 웹사이트이다. 다크웹은 형사적 은신처 뿐만 아니라 정치적 은신처를 제공한다. 종단간 암호화는 우편물에 자물쇠를 다는 것과 같은 원리로 모든 사용자의 개인키를 통해 정보를 보호한다. VPN(Virtual Private Network)를 통해 실현할 수 있다. SSL스트립은 사용자의 컴퓨터를 속여 http 프로토콜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한다.

하드웨어_CPU, Drive, RAM, NFC
CPU는 중앙처리장치로 일종의 두뇌에 해당한다. CPU는 Core들의 집합체이고, Clock으로 속도를 측정한다. CPU칩은 대표적으로 ARM와 Intel(x86)이 있다. Drive는 저장장치에는 HHD와 SSD가 있다. SSD는 소음, 무게, 내구성 등 모든 면에서 우수하며 가격도 저렴해지고 있다. RAM은 단기저장장치로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Drive가 책장에 꽂힌 책이라면, RAM은 펼쳐져 있는 책이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은 전력소모 없이 가까운 거리의 기기와 통신하는 기술이다.

로봇배송_PrimeNow
아마존 프라임나우는 유료 서비스로 다양한 상품을 1시간 이내에 배달하는 서비스이다. 프라임나우는 소프트웨어, 로봇(Robot), 인간(Picker)의 공조로 실현된다. 알고리즘에 의해 어떤 상품이 어디에 있어야 하는지 결정되며, 로봇과 인간의 동선도 제시된다. 이 방식을 통해 상품을 찾고 포장하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단축된다.

'나의 책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를 활용한 온라인 광고의 종류  (0) 2021.03.28

댓글